본문 바로가기

한글, 새로운 시선

짜장면 vs. 자장면... 그 승자는?


전 국민이 한 달에 한 번씩은 꼭 먹을 법 한, 중국음식의 대표 ‘짜장면’. 여러 분들은 어떻게 부르세요? 아니, 뭐 짜장면이 짜장면이지, 뭐 딴 이름이 있겠냐고요? 그렇죠. 짜장면은 짜장면이죠. 다들 아실겁니다. 국립국어원에서 권장하는 짜장면의 올바른 표기가 ‘자장면’이라는 사실... 그런데 얼마 전, SBS에서 방송하는 다큐멘터리 ‘SBS스페셜’ 중, 2009년 5월 경 방송한 <짜장면의 진실>편을 보면서, 마치 ‘그동안 잘 사귀어오던 내 여자친구가 알고보니 남자였다’ 급의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방송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중 약 92% 가량이 중국 음식점에서 주문을 할 때 ‘짜장면’이라고 말한다고 합니다. 조사에 응한 사람들 중 과반수가 ‘외래어 표기법을 ‘짜장면’이라 고쳐야 한다'고 이야기하기도 했습니다. 방송에서 만화가 박재동 화백은 ‘음식이란 것에는 문화가 담겨있는 법인데, 전 국민들이 모두 짜장면이라 알고 있는 것을 자장면으로 부르라 하면 그 문화 역시 변절되는 것이다’라며 안타까운 표정을 지으셨어요. ‘맛도 없어 보이고’라는 말도 덧붙이셨고요.  =]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언론에서조차, 예전에는 ‘짜장면’이라고 표기하던 것을, 근래에 와서 ‘자장면’이라고 쓰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요? 방송에서 나온 국립국어원의 기획팀 박용찬 팀장은 ‘사실 짜장면의 ‘짜’발음은 엄격히 말해 ‘짜’도 아니고 ‘자’도 아닌 중간음적인 성격의 ‘Zh’다’라며, 이 발음을 ‘짜’로 했을 경우 수많은 동음이의어가 생길 가능성 때문에 ‘자’발음으로 할당했다 하셨습니다. 그러고는 이렇게 덧붙이셨죠.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이 문제는 중국어 학자와 이야기 하셔야지, 우리와 의논할 게 아닙니다."

이 부분에서 전 좀 당황스러웠어요. 우리 말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하도록 연구하는 곳이 바로 국립국어원인데, 외래어를 우리 나라 사람들이 보다 편하고 쉽게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 그럼 누구한테 물어본다는 말이죠? 
다큐멘터리 진행자가 ‘실태조사는 뒷받침 되었느냐. 전 국민이 짜장면을 선호하는데...’라며 보다 날카롭게 파고들어가자, ‘실태조사가 충분히 되지는 않았지만, 기존에 나온 문헌, 특히 사전류에 이미 자장면으로 표기가 되고 있었다’며 발뺌하는 국립국어원 측.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다큐멘터리 제작진은 동대문의 고서점을 뒤져 ‘자장면’이 표준어로 지정되기 전 사전을 찾아냈습니다. 그것에 다르면 분명 ‘자장면’이 맞는 표현이었습니다만, 아예 한자가 다르게 표기돼 있었어요. ‘볶을 작(炸)’자에서, 식초를 뜻하는 ‘신맛나는 조미료초 작(酢)’으로 말이에요. 애초에 출발부터 잘못되었던 것이죠.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화교출신으로 우리말과 중국어 모두에 능통한 중앙민족대학 조선-한국학 연구소장 태평무 교수는 ‘문화관광부에서 나온 외국어 표기법 중 중국어 표기법이 틀린 게 많다’며, ‘짜장미엔’이 맞는 발음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제작진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중국 산동까지 날아가 확인한 결과, 중국인들 모두 ‘짜’ 더 정확하다며 ‘짜장면’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출처: SBS 스페셜 <짜장면의 진실> 화면 캡처


사실, ‘언어’라는 것은 법칙도 중요하지만, 구성원들의 사회적 합의가 어떻게 되었느냐가 훨씬 중요한 문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지금도 ‘어린 백성들이 니르고져 홀배 이셔도’같은 훈민정음 시절의 문법을 고수해야 하는 것이 맞겠죠.  
‘짜’가 권설음이니 설측후음이니 하는 복잡한 문법적 사실은 일단 접어두고, 저도 박재동 화백과 뜻을 함께 하고 싶습니다. 음식 뿐만 아니라, 모든 단어에는 ‘개인적, 사회적 추억’이 담길 수 있잖아요. 지금도 ‘초등학교 동창’보다는 ‘국민학교 동창’에 정감 가시는 분들이 있겠죠? 오늘 점심은 다들 짜장면 한 그릇 어떠세요? 날도 추우니 ‘잠봉’은 어떠냐고요? 노노 그건 ‘짬뽕’이 표준어랍니다. 이 이야기는 다음 이 시간에~ 

온한글 블로그 기자단 2기 이정민

ⓒ 온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