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소설이나 수필들도 많이 보지만, IT 관련 서적들을 가끔 읽다보니 번역서도 많이 접하게 되는 편입니다. 특히, 심심할 땐 IT영웅들의 무용담(?)을 풀어낸 수필 종류도 굉장히 재미있어요. 스티브 잡스나 빌 게이츠 등 ‘팔팔한’ IT 영웅들의 통통튀며 재기발랄했던 이야기들을 읽고 있자면, 이전에 그만뒀던 IT분야 공부를 다시 하고 싶어질 정도에요. 그런데, 이런 번역서들을 잘 만나면 좋지만, 아니라면 영 읽기가 쉽지 않아요.
최근에는 애플이 매킨토시를 개발할 때의 엔지니어들의 에피소드를 모아놓은 ‘미래를 만든Geeks’(앤디 허츠펠트 지음, 송우일 옮김, 인사이트)를 관심읽게 읽고 있습니다. 당시에도 신선한 활어처럼 펄펄뛰는 그들의 재기발랄함 때문에 책장이 잘 넘어가는 편입니다만... 가끔 영~ 진도가 안나갈 때가 있어요. 특히 이런 문장 때문입니다.
래리는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일관성을 옹호했고 매킨토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여를 많이 했다.(181쪽)
뭐 사실 특별히 어려울 것도 없는 문장입니다만... 영 읽기가 어색하더라고요. 이런 구절도 있더군요.
나는 퍼즐을 좋아한데다 고객의 틀에 박힌 비즈니스적인 관점에 굴복하고 싶지 않아서 제롬에게 말했다 (292쪽)
막연히 궁금해만 하던 중, 페이스북의 ‘Ray’s Writing Tips’라는 페이지를 통해 그 이유를 알 수 있었어요. 억지로, 또는 번역 때문에 끼워맞춘 명사형이 끼어있거나, 말을 짧게 하기 위해 억지로 줄인 말들이 섞여 있었기 때문이죠.
래리는 애플리케이션들간의 관계를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을 좋아했고, 그것은 매킨토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많은 도움이 됐다.
이 정도로 고치면 쉽지 않을까요? 그 다음 문장도 고쳐봅시다.
나는 퍼즐을 좋아한데다, 비즈니스 상에서 흔히 보는 틀에 박혀있는 관점에 굴복하고 싶지 않아서 제롬에게 말했다.
‘비즈니스적인 관점’이라는 말때문에 너무 모호해 진 것을 살짝 풀어만 줘도 이렇게 이해가 쉬워지거든요. 그렇죠?
한글도 힘든데, 다른 나라 말을 번역하는 것은 얼마나 어렵겠습니까... 하지만, 기왕 하는 거 많은 독자들이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조금만 신경을 쓰면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읽고 공감할 수 있을거에요. 그러다 보면 베스트셀러도 나오는거고요. 어때요, 공감하시나요? ;-]
온한글 블로그 기자단 2기 이정민
ⓒ 온한글
'한글, 새로운 시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를 중국어·베트남어·타갈로그어로 배운다? (0) | 2011.03.22 |
---|---|
오랜만입니다. 그런데 살찌셨네요! (0) | 2011.03.11 |
'빠리' 아니죠, '파리' 맞습니다 (4) | 2011.03.04 |
패션 용어, 한글의 가장 큰 적!! (0) | 2011.02.25 |
오페라를 한국어로 부르지 말란법 있나? 세빌리아의 이발사 (0) | 201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