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글, 새로운 시선

각하, 대통령? 국가 원수를 칭할 때 존칭은?

지난 11월 2일, 미국 유력지 뉴욕 타임스(NYT)의 해외판인 인터내셔널 트리뷴(IHT)은 인터넷 방송 ‘나는 꼼수다’를 1면 톱기사로 소개했었어요. ‘The opposition goes online'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 여당을 비판하는 토크쇼 형식의 나꼼수가 팟캐스트를 통해 회당 200만회나 다운로드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덧붙여 신문은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 등 4명의 출연진은 이 프로그램을 [각하 헌정방송(그들 식대로 표현하면 가카 헌정방송)] 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여기서 각하란 이 대통령을 비꼬는 말”이라고 설명했다고 하네요.

사진출처 : 한겨례 신문 / hani.co.kr 


우리나라의 국가 원수에 대한 호칭이 왕을 일컫는 ‘전하’에서 ‘각하’ 그리고 지금은 ‘대통령 님’으로 변화된 듯 합니다. 물론, 조선 시대 이전에 고려 시대도 있었으며 삼국 시대도 있었습니다. 시대를 확대시키면 복잡한 역사 얘기로 빠질 수 있으므로, 쉽게 조선 시대만 예로 들어 봤습니다.

조선 시대를 끝으로 왕권 체제에서 대통령제로 바뀌면서, 1대 이승만 대통령부터 14대 김영삼 대통령 대까지 대통령이란 직함 뒤엔 항상 ‘각하’라는 존칭이 꼭 붙었습니다. 하지만 15대 김대중 대통령 정권이 들어서면서 이 말이 권위적이라 하여 지금까지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통령을 [각하]라고 불러야 했던 때에 어린 시절을 보낸 저로써는 이 ‘각하’라는 말이 대통령을 조롱하는 말로 변화하는 과정까지 보게 되네요. 알다시피, ‘가카’라는 말이 틀린 건 아닙니다. ‘각하’의 발음이 바로 ‘가카’니까요.


그럼, 우리나라에서 예전엔 왕(혹은 황제)그 가족들에 대한 경칭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 에서는 '폐하, 전하, 각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 폐하 01 (陛下) [폐ː-/페ː-] 「명사」
황제나 황후에 대한 경칭.

* 전하 01 (殿下) [전ː-] 「명사」
1.『역사』조선 시대에, 왕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던 말. ex) 상왕 전하, 미거한 소신이 전하께 한마디 아뢰려 하옵니다.

* 마마 (媽媽) [명사]
1. <역사>임금과 그 가족들의 칭호 뒤에 쓰여, 존대의 뜻을 나타내던 말.
2 <역사>벼슬아치의 첩을 높여 이르던 말. 그리고 마마님 [媽媽 -] [명사]<역사> 조선 시대에, 아랫사람이 상궁을 높여 이르던 말. 일반적으로 "마마님"은 여자에게만 쓰였음.

 * 각하 05 (閣下) [가카]「명사」
1. 특정한 고급 관료에 대한 경칭, 대통령 각하/의장 각하.
2. 『북한어』국가 간의 외교 관계에서, 지위가 높은 인사들에게 쓰는 공식적인 존칭.


[~하] 라로 끝나는 존칭은 상대방의 위대성에 대해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폐하는 [陛]는 대궐의 섬돌을 뜻하는 말로 대궐의 기반석 밖에 엎드려 뵙는다는 것입니다. 이에 반해 전하의 [殿]은 대궐을 뜻하는 것으로, [폐]보다는 좀 더 다가가 뵙는다는 의미라네요.

즉, 폐하는 신하가 돌층계 아래에서 예를 취해야 하는 존귀한 사람을, 전하는 돌층계를 지나 전각 아래서 예를 취해야 하는 높은 사람을 뜻합니다. 따라서 폐하가 좀 더 범접할 수 없는 존귀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여러 제후국을 거느리는 제국의 황제에게 [폐하]가 존칭호로 바쳐집니다.

황제와 황후, 황태후에게는 폐하를, 황태자와 황태자비는 이보다 한 단계 낮은 전하를 존칭호로 불립니다. 요즘 MBC 드라마 [계백]을 보신다면, 황제와 황후에게 모두 ‘폐하’라는 존칭을 붙임을 알 수 있을 겁니다.

사진출처 : MBC 월화 드라마 [계백], mbc.co.kr


그 아래 제후국의 왕은 황제보다 낮은 전하를 존칭호로 받습니다. 조선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이 서기 전까지 국왕만이 전하라는 존칭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다음 왕위를 이을 세자에 대한 극존칭은 저하(邸下)가 있습니다.

신하 중 가장 서열이 높은 정 1품 벼슬아치를 높여 부르는 존칭 중엔 합하(閤下)라는 말도 있지요. 예전에 드라마 ‘명성황후’에서 흥선 대원군 뒤에 ‘합하’라는 존칭을 붙이던 것이 기억납니다. 

이외에도 예하(隸下)가 있어요. 서양에서 종교적 지도자에 대한 존칭이지요. 주교 예하, 추기경 예하라고 부릅니다. 단, 한국 불교의 스님에 대한 존칭 예하(猊下)와는 뜻이 다르다네요. 그리고 교황에 대한 존칭인 성하(聖下)도 있지요. 


다시 '각하'와 '대통령님'에 대한 얘기로 넘어옵시다.

공식 석상에서 대통령을 언급할 때 ‘대통령 님’이라는 말이 과도한 존칭이란 지적을 본 적이 있습니다. ‘대통령’이란 직함 자체가 존경의 의미가 들어있기 때문이라네요. 사적인 자리라면 몰라도 제 3자 혹은 공식 석상에서는 ‘님’자를 빼고 ‘대통령’이라고 해도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대통령님’이 과도한 존칭이란 점은 정부 관계자도 언급한 적이 있다고 하네요. 이명박 정부 초기인 2008년 2월, 청와대 대변인이 기자회견을 열고 “지금까지 대통령을 부를 때 보통 ‘대통령님’이라고 했는데 앞으로는 ‘님’자를 빼기로 결정했다”면서 “이명박 대통령도 합리적 기준으로 해야 한다며 참모들의 이 같은 결정을 수용했다”고 전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존칭이란 것이 옛날에는 본인이 직접 정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아래에서 바쳐지는 말로 보였다면, 이제는 존칭을 받는 사람이 어떻게 부르라고 정해주는 시대가 되지 않았나 싶네요. 제 기억으론 ‘대통령님’도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직접 언급하셨고, 지금까지 잘 사용되고 있으니까요.

일반인도 ‘~씨’ 보다 ‘~님’이라고 불러주는 편이 더욱 공손하게 들리긴 하잖아요. 저만 그런가요? 아무튼, 국가 지도자든 일반인이든 간에, 따지고 보면 존칭이란 것이 듣는 사람을 위해 붙여주는 말인데…. 한 때 존경의 의미였던 말이 시대가 바뀌면서 그 뜻이 180도 바뀌는 것을 보면서 참 말이라는 것이 재미있으면서도 얄궂다는 생각도 드네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
중앙일보 / www.joins.com, 우리말 바루기
한겨례 신문 / hani.co.kr
mbc.co.kr


온한글 블로그기자단 3기 배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