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1월 7일 예술의전당에서는 한국캘리그래피협회와 윤디자인연구소가 공동주관하는 오기노 탄세츠 초청, 캘리그래피 세미나가 열렸다.
한·일 양국의 캘리그래피 환경에 대한 이해와 교류를 목적으로 마련된 이날 세미나에서, 오기노 탄세츠는 자신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보이며 일본 캘리그래피의 특징과 현황을 소개했다.
일본디자인서도협회 자문위원이기도 한 그의 경험담과 철학을 들어 보았다.
|
원래 디자이너로 일하다가 30대 중반부터 서도를 하게 되었다고 들었다. 어떤 특별한 계기가 있었나? |
|
사실 서도는 어렸을 때부터 해오던 것이었다. 디자이너와 일러스트레이터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다가 30대 중반에 서도가로서 일을 하게 된 것은, 당시만 해도 디자인에 있어서 헤드라인 같은 것은 서도가들이 해주었는데 그들의 작업을 보면서 내가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이 있어서였다. |
|
그 예상대로, 위스키 ‘響’를 비롯한 주류상품들과 NHK의 대하드라마 ‘新選組’, 연속텔레비전 소설 ‘아스카’ 등 다양한 작업들이 성공을 거두며 일본 캘리그래피계의 거장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동안의 성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성공적인 캘리그래피의 요소’는 어떤 것들인가? |
|
우선 가독성을 꼽고 싶다. 간혹 지나치게 멋을 부려 단번에 읽어내기 어려운 것들을 볼 수 있는데 그렇다면 성공적인 결과물이라 하기 어려울 것이다. 다음으로 전하고자 하는 내용이 있어야 한다. 이는 곧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한다는 뜻이다. 마지막으로 아름다움을 살려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깊은 맛을 낼 수 있는 임팩트가 있어야 한다. |
|
한국의 경우 캘리그래피라는 용어는 정통서예와는 다른 개념으로 쓰이고 있다. 일본에서는 서도라는 말이 한국의 서예에 해당하고, 예술서도와 디자인서도라는 말로 정통서예와 상업적인 서예의 차이를 표시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그렇다면 예술서도와 디자인서도의 경계는 어떻게 규정할 수 있나? |
|
예술서도의 경우 앞에서 말했던 ‘훌륭한 디자인서도의 요건’들과 그 순위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즉, 디자인서도에서 가독성이 가장 비중 있는 것과 달리, 예술서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임팩트’이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작품의 깊이와 강약, 품격 등 보는 이의 시선을 끌고 감동을 줄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디자인 서도로 불리는 일본의 캘리그래피
|
스스로를 ‘묵상가’라고 칭하는데, 이는 상업서도와 예술서도의 모호한 경계를 뛰어넘고자 함인가? |
|
잘 쓰이지는 않지만 일본어에 묵상가라는 용어가 있긴 하다. 내 자신을 이렇게 표현하려는 것은, 내 작업들이 디자인서도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추상예술서도도 많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묵상가라는 말이 보다 넓은 의미의 표현인 것 같아 스스로를 그렇게 부르고 있다. 그리고 추상서도를 꾸준히 하는 것은, 디자인서도의 경우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추어야 하는 한계가 있는 반면 추상작품은 내 나름의 세계를 마음껏 보여줄 수 있다는 매력이 있기 때문이다. |
|
일본의 경우, 신문기사의 헤드라인에 지면을 압도할 것 같은 캘리그래피로 장식하는 것을 보면서 캘리그래피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지 실감하게 된다. 그러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한국 캘리그래피계의 모습에 대한 견해를 피력한다면…. |
|
한국 캘리그래피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한글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한글은 기하학적이며 심플해서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조형성을 가진 문자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런 한글의 특징들이 캘리그래피 작업에서는 자칫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 같다. |
다양한 시도와 ‘열심’이 특별함 만든다
|
얼마 전 한국에서 가진 세미나를 통해 전하고자 했던 바는 무엇이며, 그 성과는 어떠했나? |
|
단편적인 대답이 될지 모르겠지만, 기계가 아닌 인간의 손으로 줄 수 있는 감동이 어디까지인지 |
|
캘리그래피의 매력을 묻는 어느 인터뷰에서 ‘생각지 못했던 좋은 작품이 나오는 우연성’과 함께 ‘연장의 질 차이에서 오는 다양성’ 을 꼽은 적이 있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사용해본 필기도구 중 가장 매력적인 도구는 어떤 것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
|
일반적으로 쓰이는 붓은 물론이고 룰러나 이쑤시개, 젓가락 등 다양한 재료들을 필기도구로 활용하기도 한다. 또 어떤 땐 맨손에 직접 먹을 묻혀 쓰기도 하는데, 이렇게 이런 저런 시도를 하는 것은 ‘오기노’라는 브랜드의 특별함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누구나 하는 작업은 창의적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지양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
|
마지막으로, 서도가로서의 철학을 묻고 싶다. 서도의 길이란 과연 어떤 길이며,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길은 어떤 것인가? |
|
특별한 철학이랄 것은 없다. 서도의 길이란 글자 그대로 ‘문자를 통해서 인간의 마음을 갈고 닦는 길’이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작업을 해오다 보니 오늘에 이르렀다. 다만,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스타일은 붓의 부드러운 놀림보다는 힘과 느낌을 살리는 작업이다. 그리고 어떤 작업을 하든 나만의 오리지낼리티가 있는 조형미를 살리려고 노력하고 있다. |
'온한글이 만난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김두섭-한글 대단한 발명품 (0) | 2009.02.10 |
---|---|
[인터뷰] 노승관-한글의 구조적 미학 탐구하는 영상디자이너 (2) | 2009.02.06 |
[인터뷰]<건방진 우리말 달인>의 저자 -엄민용 (0) | 2009.02.03 |
[인터뷰] 새김아트를 주창한 전각가, 고암 정병례 (0) | 2009.01.30 |
[인터뷰] 이상규 국립국어원장-한글날 큰잔치 조직위원회 (0) | 2009.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