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한글, 크다 등의 의미를 가진 ‘한’과 울타리를 의미하는 ‘울’을 합성한 ‘한울’이라는 이름의 대학생 한글 타이포그래피 연합회. 그들이 써온 역사가 어느덧 8년째에 접어들었다.
시원을 따지자면 1998년 ‘글꼴과 타이포그래피전’이라는 이름으로 네 학교의 동아리들이 함께 했던 전시가 모태였다고 할 수 있겠지만, 본격적인 틀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2001년에 ‘한글 다시 보기’라는 제목으로 뭉쳤던 한울 1.0세대에서부터였다. 그들이 넘겨준 바통이 해마다 여섯 번째 전해지는 동안 한울은 우리 타이포그래피 디자인계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로 훌쩍 자라났다.
그리고 2008년 일곱 번째 바통을 주고받는 시점이 된 것이다. 한울 7.0 회장(함민주, 서울여대)의 한 마디 한 마디가 예사롭게 들리지 않는 이유도 그 시점의 중요성 때문이다. - 편집자 주 -
|
ⓒ 윤디자인연구소 온한글
'온한글이 만난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이상규 국립국어원장-한글날 큰잔치 조직위원회 (0) | 2009.01.29 |
---|---|
[인터뷰] 장성환-우유부단함에 대한 유쾌한 조언, 사인 (0) | 2009.01.23 |
[인터뷰]유네스코 본부 '청춘'의 작가 강익중 (0) | 2009.01.16 |
[인터뷰] '한글 손글씨, 거리를 물들이다'의 주역, 캘리그래퍼 강병인 (0) | 2009.01.15 |
[인터뷰] 소리문자가 들려주는 새로운 동화 -<소리나는 한글 나무>의 저자 정태선 (1) | 2009.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