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 속 한글

'김치'가 우리 고유어가 아니라고?


우리민족의 대표적인 전통 음식이자, 이제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도 국제식품 규격으로 승인받은 세계적인 음식이 되어버린 김치!!

그런데 "'김치'라는 단어가 우리 고유어가 아니다"라는 말을 들었는데요, 과연 어떤 사연이 있는 것일까요?


우리 선조들은 '김치'를 아주 이른 상고시대부터 먹어 왔습니다. 물론 초기의 모양새와 그 명칭은 지금과는 사뭇 달랐다고 해요.
초기에는 무, 부추, 죽순 등과 같은 남새(채소)를 그저 소금에 절인 형태였고, 이것을 '디히'라 불렀습니다.


지금의 고추를 양념으로 하는 빨간 김치가 나타난 것은 고추가 국내에 들어온 16세기 후반 이후의 일입니다.
'디히'는 김치에 대한 순수 우리말이인데요, 옛 문헌에 보이는 '겨디히(겨울김)치'나 '앳디히(장아찌)'의 ‘디히'가 바로 그것입니다.

그런데 '디히'의 어원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해 옛말 '딯-(떨어지게 하다)'에서 파생된 명사로 보는 견해가 유력한데요, 물론 '딯-'라는 어형은 문증(文證)이 되지 않습니다.
'딯-'는 지금 '지-(落)'로 남아 있는 중세국어 '디-(落)'의 사동형쯤으로 이해됩니다. 소금에 절인 채소는 가라앉기 때문에 '떨어지게 하다'는 의미의 '딯-'를 이용한 단어 만들기가 가능하지 않았나 여겨집니다.

'디히'는 '디'를 거쳐 '지'로 변하게 됩니다. '지'가 '디히'로부터 변한 어형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지'를 한자 ‘漬(담그다)‘로 보려는 견해도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입니다. 우연히 우리말 '지'와 한자 '漬'가 음이 같고 또 의미까지 상통하기 때문에 생겨난 오해일 뿐입니다.

'지'는 지금 서울말에서는 독자적으로 쓰이지 못합니다. '싱건지(소금물에 삼삼하게 담근 무 김치), 오이지, 젓국지(조기 젓국을 냉수에 타서 국물을 부어 담근 김치), 짓독(김치독), 짠지' 등과 같은 보수적 성격의 합성어 속에서나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물론 아직도 경남 및 전남 지역에서는 '지'가 '김치'를 뜻하는 단어로 쓰이고 있다.

 
고유어 '지'를 대신하고 있는 단어가 바로 '김치'입니다. 이 '김치'는 한자어 ‘침채(沈菜)’에서 온 말입니다.
'침채(沈菜)'는 '절인 채소' 또는 '채소를 절인 것'을 의미합니다. 초기의 김치는 그저 채소를 소금에 절인 음식이었기에 이러한 의미를 지니는 새로운 명칭이 나올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유어 '디히'에 이어 한자어 '침채(沈菜)'가 만들어진 것은, '디히'가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몰라도 잘 쓰이지 않게 되자 그것을 대신하기 위해서였을 것입니다.

그런데 '침채(沈菜)'는 16세기에 '딤' 또는 '팀'로 표기되어 나옵니다. 두 단어는 제1음절 두음(頭音)에서만 차이를 보입니다. '팀'가 16세기 당시의 현실 한자음을 반영한 것이라면, '딤'는 그보다 앞선 시기의 한자음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딤'와 '팀'는 각기 다른 변화 과정을 거쳐 오늘날까지 병존하고 있는데요, '딤'는 '짐' 또는 '짐츼'를 거쳐 '김' 또는 '김츼'로 변한 뒤 지금의 '김치'로 변하게 됩니다.
한편, '팀'는 '침'를 거쳐 '침채'로 이어졌습니다. 그런데 현대국어에서 '침채'는 제수(祭需, 제사에 쓰는 여러 가지 재료)의 하나인 '절인 무'를 가리킬 때나 쓰일 뿐 '김치'에 밀려나 잘 쓰이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해서 '김치'라는 단어가 한자어 '침채(沈菜)'에서 온 것이며, 그것도 '팀'가 아니라 '딤'에서 변한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김치'처럼 소중한 말이 우리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라니 조금은 실망스럽지만, '침채(沈菜)'라는 한자어가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조금은 위안을 삼을 만하겠습니다.

 
본문 내용 출처 -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 1권(p.191~194), 조향범


작가소개 - 조향범
현재 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의미론을 전공하였고, 우리들이 자주 사용하지만 그 뜻을 정확히 모르는 말의 어원에 관한 책을 여럿 펴냈다. 주요 저서로는 <국어 어원론>, <지명 어원 사전>,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 1, 2>, <선인들이 전해준 어원 이야기>, <청주 지명 유래>, <국어 친족 어휘의 통시적 연구> 등이 있다.

온한글 블로그 기자단 1기 김영선

ⓒ온한글